조건문
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서 다른 코드를 실행한다.
if, elif, else를 사용한다.
- 탭으로 4칸 들여쓰기 설정
먼저 조건문 반복문에서는 들여쓰기의 사용이 잦아서 들여쓰기를 해야한다.
탭으로 들여쓰기를 하는데 코랩의 탭은 2칸 띄우는 것이 기본값이다.
PEP8
PEP 8 – Style Guide for Python Code | peps.python.org
PEP 8 – Style Guide for Python Code Author: Guido van Rossum , Barry Warsaw , Nick Coghlan Status: Active Type: Process Created: 05-Jul-2001 Post-History: 05-Jul-2001, 01-Aug-2013 Table of Contents This document gives coding conventions for the Python co
peps.python.org
을 살펴보면 4칸 들여쓰기를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코랩에서 탭으로 4칸을 띄울 수 있게 설정해준다.
다음과 같이 코랩에서 설정을 누른 후 편집기에서 들여쓰기를 4로 바꿔준다!!
- 조건문을 사용해 점수별 학점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!
(90 >= A, 80 >= B, 70 >= C, 60 >= D, F로 한다.)
point = int(input('점수를 입력하세요 : '))
if point >= 90:
print('A')
elif point >= 80:
print('B')
elif point >= 70:
print('C')
elif point >= 60:
print('D')
else:
print('F')
85점을 입력하면 조건에 맞게 B가 나온다.
중요한 것은 조건문에서 조건을 확인하는 코드 뒤에 :을 써야한다는 것이다.
또 아까 설정한 4칸 들여쓰기를 확인할 수 있다.
- 숫자를 입력받아 홀수, 짝수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!
number = int(input('숫자를 입력하세요 : '))
if number % 2:
print('홀수')
else:
print('짝수')
위 코드에서 number % 2는 불값이 아닌데 코드가 잘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조건을 확인하는 코드 부분의 데이터가 bool값이 아니면, bool값으로 자동으로 형변환된다.
bool() 형변환을 했을 때 False가 나오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.
bool(0), bool(0.0), bool(''), bool([]), bool(()), bool({})
다음 데이터들은 모두 False가 나오며 나머지는 모두 True로 형변환 된다.
-삼항연산자
삼항연산자는 간단한 조건문을 한줄의 코드로 작성하는 방법으로
<true data> if <condition> else <false data>의 형식으로 쓰인다.
balance, draw = 10000, 12000
if balance >= draw:
print('인출가능')
else:
print('인출불가')
위의 balance(잔고)가 draw(인출액)보다 크거나 같으면 '인출가능'이고 아니면 '인출불가'인 코드를
balance, draw = 10000, 12000
result = '인출가능' if balance >= draw else '인출불가'
result
이렇게 한줄의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.

결과는 모두 인출불가이다.
조건문에 대해서 공부해봤습니다...
다음 시간에는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볼게요!
'멋쟁이사자처럼 AI스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부 확률을 통한 데이터분석(파이썬 강의 Day2) (0) | 2023.01.03 |
---|---|
반복문(파이썬 강의 Day2) (0) | 2023.01.03 |
연산자(파이썬 강의 Day2) (0) | 2023.01.03 |
문자열 데이터 표현과, 변수를 문자열에 삽입하는 방법(파이썬 강의 Day1) (2) | 2023.01.02 |
데이터의 속성값을 출력하는 함수와 얕은 복사, 깊은 복사(파이썬 강의 Day1) (0) | 2023.01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