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속성을 출력하는 함수
- id(), type(), print(), sys.getsizeof()
1. print() : 식별자에 저장된 데이터 출력
print()함수에 대한 설명은...
2023.01.02 - [멋쟁이사자처럼 AI스쿨] - 파이썬 강의 Day1(변수선언)
파이썬 강의 Day1(변수선언)
파이썬은 컴퓨터의 CPU, RAM, SSD(HDD)를 사용하는 방법이다... 그러므로 우리는 파이썬의 문법을 학습해야한다! 변수선언 변수선언은 RAM을 사용하는 문법으로 메모리에 저장공간을 만들어 데이터를
helpming.tistory.com
을 참조해주세요!
2. type() : 식별자의 타입 출력
type()함수에 대한 설명은...
2023.01.02 - [멋쟁이사자처럼 AI스쿨] - 파이썬 강의 Day1(데이터 타입)
파이썬 강의 Day1(데이터 타입)
파이썬은 컴퓨터의 CPU, RAM, SSD(HDD)를 사용하는 방법이다... 그러므로 우리는 파이썬의 문법을 학습해야한다! 데이터타입 데이터타입은 RAM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문법이다. - 기본 데이터타입 - i
helpming.tistory.com
을 참조해주세요!
3. sys.getsizeof() : 데이터의 저장공간크기 출력
-sys.getsizeof()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선 sys패키지를 import해야한다.
import sys
data = [1, 2, 3, '가', '나']
sys.getsizeof(data)
다음과 같이 data의 저장공간 크기는 96바이트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4. id() : 식별자의 주소값 출력
data = [1, 2, 3, '가', '나']
id(data)
아래와 같이 주소값을 확인할 수 있다.
- 얕은복사 : 주소값을 복사하는 것(변수 선언으로 복사)
- 깊은복사 : 데이터를 복사하는 것(.copy()함수로 복사)
data1 = [1, 2, 3]
data2 = data1 # 얕은복사
data3 = data1.copy() # 깊은복사
print(data1, data2, data3)
data1[1] = 4
print(data1, data2, data3)
data2는 얕은복사를 한 것이고 data3는 깊은복사를 한 것이다.
얕은복사의 경우 데이터를 변경하면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도 같이 바뀐다.
깊은복사는 데이터가 복사되는 것이기 때문에 바꾸고자 하는 데이터만 바꿀 수 있다.
위 코딩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
데이터 속성과 속성을 기반으로 한 얕은복사, 깊은복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잘 이해하셨나요?
그럼 다음시간에 봐요!

'멋쟁이사자처럼 AI스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산자(파이썬 강의 Day2) (0) | 2023.01.03 |
---|---|
문자열 데이터 표현과, 변수를 문자열에 삽입하는 방법(파이썬 강의 Day1) (2) | 2023.01.02 |
데이터 타입(파이썬 강의 Day1) (0) | 2023.01.02 |
변수선언(파이썬 강의 Day1) (0) | 2023.01.02 |
프로그래밍과 파이썬(파이썬 강의 Day1) (0) | 2023.01.02 |
댓글